2.3.4.12. 무수지수

존재의 궁극이자 모든 존재의 바탕

즉 절대라는 '그것(진여, , 순수의식......)'은

상징과 기호로 잡기에 너무나 단순하고 너무나 명백하며 너무나 가까이 있기 때문에

오히려 말로 표현해내기에는 너무나 신비롭거나 너무나 숭고, 또는 복잡, 심오한 그 어떤것이라는 식으로 상정하는 오류를 범한다.

상정한다는 말은 곧 지금 여기가 아닌 딴 곳을 바라본다는 얘기이다.

늘 불성실하고 진지하지 못함 즉 전면적이지 못하고 솔직하지 않은 지금 여기 !

그저 스쳐가고 외면해버리고 도망치고서는 대충 불만족스럽다고 여기는 지금 여기 !

그래서 초월이라는 어의가 풍겨내는 분위기에 혹하여 지금 여기가 아닌 이대로가 아닌 그 어떤것, 그 어디라고 멋대로 상상해버리고는 열심히 쫒아가는 것이다.

그런데 전적으로 이원을 초월한다는 것, 분리와 경계가 없음이라는 것은

바로 초월이고, 절대이고, 궁극이므로

전적으로 모든 곳에 모든 것에 내재하는 것, 편재하는 것이지않은가.

그래서 곧 '그것'은 바로 '무시간성이고 무공간'이고, '항상', '여여'인 것이다.

차원이나 외연이 없는, 날짜와 기간이 없는 순간

아무곳에도 없지만 없는 곳이 없는.

그것이 전존이다.

그것이 '지금 여기'다.

그럼에도 불구하고 누군가가 깨달음을 획득할 수 있다고 한다면

그 사람은 일진법계가 아니었던 지점에서 이제 일진법계인 지점으로 이동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말인데...... 일진법계가 무엇인가. 전존이 무엇인가.

그 자신이 전체이자 연기인데 어디에서 어디로 간단 말인가.

자신은 이 진여가 아닌 곳, 중생인 곳, 무명만 있는 곳, 합일되기 전의 분리된 한쪽만 있는 곳, 연기의 법칙이 적용되지 않는 곳......에 있다라는 억지를 부려야 할 판인데

어찌된일인지 그런 억지를 참 질리지도 않고 끈질기게 상상하고 고집 한다. 것도 묘용이다.

그러하니

이미 여기인데 이미 부처인데

이런 저런 수행으로 이러한 하나됨을 얻을 수 있는 척 하는 짓이야 말로

이미 여기이고 이미 부처인 곳에서의 끊임없는 도피행위이자 분리와 경계를 고집하는 일이다.

추구하고 쌓아서 깨달음을 획득하고

여기가 아닌 깨달음이 있는 그 어떤 곳으로 가고

없음에서 무언가 새로운 능력있음으로의 변화되고 하는....... 그 모든 것 - 수행을 포함한 삶의 모든 몸짓, 마음짓- 육식의 작용이 일어나고 그러한 작용을 할 수 있게 하는 그 자체로의 눈돌림.

그리하여 할일이라고는 여태껏 그러한 한눈파는 일을 멈추는 것뿐.

그것이 무수지수이다.

이 순간,

그대가 이런 획득 불가능성을 스스로 명백하게 확인하고

참으로 전혀 아무것도 얻을 수 있는 것이란 없음을 명백히 이해할수 있다면

그것이 바로 지혜의 마음 그 자체이다.

황벽의 말처럼